아기꽃 취미생활♥/아기꽃 글귀&명언 ♡

[독후감-시]'우리말 동시 사전(마음을 움직이고 그리고 가꾸고 짓다)_최종규 저'를 읽고나서.

아기꽃 2021. 11. 17. 06:44
728x90
반응형

출처: yes24시 홈페이지

 

안녕하세요~

11월 초에 인천주안도서관 어린이자료실에서 '우리말 동시 사전'이라는 시집을 한 권 빌리게 되었습니다.

다른 동시들도 좋지만 이 책은 마냥 가볍지 않고 마치 시골에서 맛있는 것을 푸짐하게 먹고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그런 생생한 비유가 너무 좋았습니다.

한 번 빌릴 때 직장 다니는 것도 고려해서 넉넉하게 1주 연장하고 빌리곤 하는데요!

내용이 너무 좋아서 이 책을 소장할까 생각도 해봤답니다. 후후

 

 


 

책소개

 

 

한국말사전 지음이 최종규가 264낱말을 ‘우리말’로 ‘동시’를 쓴 ‘사전’

“『우리말 동시 사전』이란 이름이 낯설 수 있어요. 아마 이런 이름은 처음 듣겠지요? ‘우리말’로 ‘동시’를 쓴 ‘사전’이란 뜻입니다. 그러면 궁금해 할 수 있어요. 우리말로 안 쓴 동시가 있을까요? 네, 그럼요. 겉으로는 ‘한글’로 적은 동시이지만, 속으로는 우리말이 아닌 동시가 무척 많아요.”

『우리말 동시 사전』은 264낱말 네 걸음 이야기를 한 자리에 모은 책이자 사전입니다. 첫 걸음은 ‘움직이다(동사)’이고, 두 걸음은 ‘그리다(형용사)’이며, 세 걸음은 ‘가꾸다(부사)’요, 네 걸음은 ‘짓다(명사)’입니다.

『우리말 동시 사전』은, 무늬만 한글인 동시가 아니라, 속으로도 우리 생각과 마음과 이야기란 무엇인가를 처음부터 새롭게 들여다보면서 즐겁게 가꾸자는 뜻으로 펴는 동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면서 동시로 그치지 않고, 동시로 말을 짚고 북돋아서 훨훨 꿈이랑 사랑을 키우는 길을 함께하기 위해 쓴 책입니다.

이 책이자 사전인 『우리말 동시 사전』은 한자말이나 영어나 번역 말씨나 일본 말씨가 없이 쓴 동시로 엮었습니다. 그렇다고 ‘순 우리말’은 아니다. 먼먼 옛날부터 흘러왔고, 오늘 흐르며, 앞으로도 흐를 새롭고 싱그러운 한국말을 바탕으로 생각을 살찌우는 동시입니다.

최종규 작가는 이번 책을 내면서 “파란 하늘빛처럼 맑은 바람을 마실 적에 몸이 튼튼하고 마음도 튼튼해요. 이 파란 하늘빛처럼 맑은 우리말로 지은 동시를 함께 읽으면서 우리 마음이며 몸을 한결 새롭고 튼튼하게 가꾸는 길을 저마다 즐겁게 익히면 좋겠습니다. 다 같이 동시놀이, 노래잔치, 이야기마당을 누려 봐요.”라고 전했습니다.

 


 

목차

 

여는 말 : 네 걸음 이야기 10
여는 시 : 글쓰기 17

ㄱ 19
가깝다 가다 가만히 가장 간질이다 거북하다 거의 걸음 걸치다 결 고요 골 곳 구슬프다 그리다
기다리다 기르다 길쭉하다 꼭 꿈 끈적

ㄴ 41
나 나긋하다 나르다 나무 나풀 날다 날래다 남다 냅다 냉큼 너무 넘실 녘 놀다 눈 눈물 눕다 느리다 늘

ㄷ 61
다르다 다시 닦다 닫다 달다 달리다 대로 대수롭다 더 더러 돌 돌다 두다 두레 둘둘 뒤로 듣다 따스하다 땅 똑똑하다 뜰 띄우다

ㄹ 84
라 랍다 래도 래서 러나 렇다 롭다 름 리 1 리 2 리고

ㅁ 96
마시다 마을 마음 막상 말 말하다 맑다 맡다 맵다 머무르다 먹다 멀다 못 몽땅 묵다 물 물씬 밉다

ㅂ 115
바늘 바라다 바리바리 바심 반갑다 반짝 받다 발 밤 벌렁 벗 별 보다 부드럽다 부르다 불다 불쑥 비다 빙글 빨다 뿌옇다

ㅅ 137
사다 사람 사랑 산들 살 살다 상냥하다 새로 선뜻 선하다 소꿉 소리 속삭이다 손가락 손수 수수하다 숨다 숲 쉬다 슬기롭다 시큰둥하다 식다 신 싹독 쌩쌩 쓰다

ㅇ 164
아름답다 아무 안 알다 얕다 어느새 어련하다 어린이 열다 영 오다 오르다 온 옷 왁자지껄하다 왜 이름 읽다 입다 있다

ㅈ 187
자국 자다 자라다 작다 작작 잔뜩 잡다 장난감 젊다 접다 제대로 조잘조잘 좋다 주다 줄줄이 즐겁다 지겹다 지레 지피다 짐 집 짓 짓다 찌푸리다

ㅊ 212
차다 1 차다 2 찰랑찰랑 참 찾다 책 척척 철렁하다 철철 촐싹 출출하다 춤 치다 치우다 칠칠하다

ㅋ 228
카랑하다 칸 칼칼하다 캄캄하다 캐다 켜다 켜켜이 켤레 코 콕콕 콜콜 콩 콩닥콩닥 크디크다 키 키우다

ㅌ 245
타다 탈 탐탁하다 터 털다 텁수룩하다 텅 톡톡하다 통틀어 퇘 툭하면 트다 튼튼하다 틈

ㅍ 260
파다 파랗다 파르르르 판 팔팔하다 포동 폭신하다 푸다 푸성귀 푸지다 풀다 풀썩 피 피다 핑

ㅎ 276
하다 하루 한글 한낱 해 해밝다 헌 헤아리다 화끈 확 후련하다 후미지다 훌륭하다 훨훨 휘 흐드러지다 흐르다 흔들다 흙 힘

닫는 말 : 우리 걸음 298
닫는 시 : 그림 299
뜻풀이 모음 300
뜻풀이를 붙일 적에 곁에 둔 책하고 사전 332
264 낱말 네 갈래로 살펴보기 333

 

 


 

 

개인적인 별점: 별10점 만점에 10점 드립니다. ★★★★★★★★★★

 

 

좋았던 점

 

  • 시골의 여유로운 풍경과 마음의 풍요와 여유로움의 비유가 잘 되어있어서 마음껏 상상하며 읽을 수 있습니다.
  • 다른 동시들과 비교했을 때 가볍지 않고 그렇다고 너무 무거운 내용도 아닌 딱 적당한 밸런스를 갖추고 있습니다.
  • 우리 말로 쓰여져 있기에 더욱 곱고 아름다워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아쉬운 점

 

  • 굳이 아쉬운 점을 적자면 우리 말 단어의 뜻은 잘 안보고 지나가게 됩니다.
  • 깔끔함에 여백의 미가 살았지만 한 장의 사진이라도 보고 싶은 욕심이 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우연히 발견하였을 때 우리 말이 이토록 예쁜 것에 감탄하며 길을 걸으며 조금씩 읽고 사진을 찍고 공유하였습니다.

 

오랜만에 느끼는 편안함이었는데 경제/경영 책이나 자기계발 책도 멋지지만 가끔 이런 시집을 읽는 것도 좋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현재의 삶에 지치고 여유를 찾고 싶은 분들께 추천드리며  '우리말 동시 사전(마음을 움직이고 그리고 가꾸고 짓다)_최종규 저'라는 자기계발서 독후감을 마치겠습니다.

 

책과 함께하는 멋지고 즐거운 하루를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